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제 정보

탄소중립 포인트 금액 적립방법

by 윤카이로스 2023. 1. 30.
반응형

일상생활 속에서 일회용품 많이 사용하고 계시죠? 비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기 위한 탄소중립 포인트제가 있습니다. 얼마 전 환경부는 탄소중립 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탄소중립 포인트의 항목과 지급예산을 대폭 확대했는데 간단히 정리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
탄소중립포인트

 

 

 

1. 탄소중립 포인트 항목

  •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 이용 : 탄소중립 포인트제에 참여한 커피전문점 등의 매장에서 일회용이 아닌 텀블러등의 다회용 컵을 가져가서 음료를 주문하면 1개당 300원의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만일 개인이 가져온 경우가 아닌 매장에서 일회용 컵 대신에 보증금을 부과하고 제공한 다회용 컵을 나중에 반납할 때에도 개당 300원의 포인트를 지급해요. 다만, 매장별로 포인트 지급시기가 다르니 탄소중립 포인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일회용 컵 반환 : 일회용 컵 줄이기를 지원하기 위해 202년 12월 2일부터 세종시와 제주도에서 시행되고 잇는 일회용 컵 보증금제 참여 고객들을 대상으로 진행이 됩니다. 자원순환보증금앱(일회용텁반환앱)을 사용해서 공공장소 컵반납처 또는 매장에서 반납을 하면 탄소중립포인트 제도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개당 200원의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 폐휴대폰 반납 : 보상판매가 되지 않는 폐휴대폰을 탄소중립 포인트제에 참여하는 중고폰 거래 플랫폼 민팃이나 e순환거버넌스에서 운영하는 나눔 폰 누리집 (폐휴대론 상시수거 누리집, 나눔 폰 kr)을 통해서 온라인 접수 후에 택배(착불)로 반납을 하면 개당 1000원의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나눔폰 - 폐휴대폰 상시수거 홈페이지

환경사랑! 기부실천~ 폐휴대폰 상시 수거 홈페이지입니다.

xn--910b51a865e.kr

 

  • 투명 페트병등의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 : 깨끗한 투명 페트병이나 빈 병, 책 등을 지자체가 운영하는 수거 거점에 배출을 하게 되는 1kg당 100원의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2. 탄소중립 포인트 적립방법

  • 탄소중립 포인트를 적립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포인제 누리집과 탄소중립 포인트 제도에 참여한 업체의 앱이나 웹에서 가입을 하면 됩니다. 개인의 활동 실적이 한국환경공단의 정산, 지급 시스템으로 자동 전송이 되며, 개인별 실적에 따라 다음 달 말에 포인트가 현금으로 계좌이체 됩니다. 그린카드 포인트 등의 참여자가 제도 가입 시 선택한 지급방법으로 1인당 연간 최대 7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탄소포인트실천

일상 속 탄소중립 실천이 혜택으로 돌아온다 탄소중립실천포인트 현재 311123명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cpoint.or.kr

 

 

 

3. 탄소중립 포인트 참여 횟수별 지원금액

가입만 하고 실천활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되겠지요? 환경부는 탄소중립 포인트 지급이 실제 생활에서 실천활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실천지원금을 올해부터는 참여 횟수에 따라 최대 5000원까지 차등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참여 횟수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이 다르니 생활 속 실천활동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 가입만 하고 실천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 : 실천지원금 지급액 없음
  • 1회 이상 참여시 : 1000원
  • 3회 이상 참여시 : 총 2000원
  • 5회 이상 참여시 : 총 3000원
  • 10회 이상 참여시 : 총 5000원 실천지원금 지급

 

 

평상시 일상생활속에서 에너지 절약, 자동차 주행거리 절감량에 따라 각각 최대 10만 원, 녹색 생활 실천 시 최대 7만 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저탄소생활 활동으로 1인당 연간 최대 27만의 경제 혜택을 누릴 수 있으니 환경도 생각하며 소소한 포인트로 적립받을 수 있으니 꼭 실천을 해봐야겠습니다. 생각 없이 사용하는 일회용 컵이나 페트병등을 이젠 환경을 생각하며 조금씩 줄여나가고 텀블러 이용도 해야겠어요. 반납하고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소소한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일석이조인 듯싶습니다. 우리 모두 환경을 생각해 부지런히 실천에 동참해 보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