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정부의 핵심 공약 중 하나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인 10년 만기에 1억을 만들 수 있는 지원정책이었습니다. 정부의 자금 여건 상 10년에 1억은 아니고 5년 만기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이 6월 출시예정입니다. 현재는 청년희망적금을 납입하고 있는 중입니다. 기존과 비교하여 가입 자격에서 개인 소득기준이 완화되고 가구소득 기준이 추가된 것이 특징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조건 등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한 목적으로 출시되는 정부 지원 사업이며 본인 납입금 외에 정부의 기여금과 은행의 이자를 받으면서 만기시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받음으로 목독을 마련할수 있는 제도입니다.
가입자가 납입한도 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을 하면 정부의 기여금과 은행의 이자를 추가해 만기 시 가입자가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으로 올해 6월 출시 예정입니다. 만기 해지 시 발생하는 이자. 배당 소득이 비과세라 세금도 떼지 않습니다. 예를 들자면, 만약 월 70만 원에 정부기여금(예상 6%)의 기여금 42,000원이 붙는다면 월 74만 2000원을 5년 동안 모으게 되면 총 4452만이 되는 겁니다. 여기에 은행이 제공하는 이자 수익이 추가되어 연 5% 금리로 계산한다면 대략 5000만 원의 저축액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가입대상
2023년 기준으로 만 19세 ~ 34이하
근로. 사업소득이 있고 개인 소득이 6000만 원 이하
가구소득(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발표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표입니다. 2인가구 3,56,155원의 중소소득 180%이면 6,221,079원이 되겠네요.
정부의 기여금 및 금리
정부의 기여금은 6%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나 아직 상품의 세부 사항이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기여금은 가입자들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결정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지난해 청년희망적금 5~6%대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가입기간
의무 가입기간이 5년 (60개월)입니다.
- 내가 생각하는 장점
만기 시 이자소득이 전액 비과세 되는 것과, 월 최대금액 70만 원이 다소 부담스러운 금액일 수도 있는데 최소 가입금액이 없는 자유적립식 상품이라는 점, 청년들이 다소 수월하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것 또한 장점으로 여겨집니다.
- 내가 생각하는 단점
의무 가입기간이 5년이라는 기간은 다소 길게 느껴집니다. 가입 기간 중 변동사항이 생길 수도 있는데 오랜 기간 적금을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인듯 합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납입하고 있기는하나 가입기한이 길지 않아 버티고 있기도 하지만 다소 긴 5년동안의 적금 유지기간을 유지할수 있을지 가입에 조심스럽기도 합니다.
현재 6월 출시예정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가입 자격이 되시는 분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나왔을 때 높은 금리를 주는 것에 가입하기 위해 전쟁 아닌 전쟁을 치르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출시 6개월 만에 30만 명 넘게 중도해지를 한 것으로 집계가 되었다는 소식도 들었습니다. 최대 납입금액이 50만 원이지만 자유적립식이다 보니 한 달에 10만 원을 납입할 때도 있고 현금 상황이 조금 여유 있을 때는 50만 원을 납입하기도 합니다. 가입 시에는 굉장한 고금리를 주는 상품으로 생각이 되었지만 22년 여름 이후로 금리가 높은 금융상품이 많이 나오는 탓에 청년희망적금이 금리가 아주 높다라는 생각은 덜 들게 되더군요. 아마도 저 같은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 계셔서 다른 상품으로 갈아타기 위해 해지하시는 분들도 계시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또는 좀 더 좋은 다른 투자처를 찾아 또ㅓ해지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겠지요. 꾸준한 적금 납입이 관건인데 청년도약계좌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상품의 개요가 나오면 목돈마련의 좋은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을 듯합니다. 아무쪼록 6월을 기다려 보겠습니다.
'생활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도 달라지는 것 간략히 알아보기 (정책 제도 법규사항) (0) | 2023.01.16 |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나의 소득 기준은 어디쯤일까? (0) | 2023.01.15 |
부모급여 월 70만원 신청방법 주의사항 (0) | 2023.01.14 |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지원대상 훈련과정 훈련장려금 지급요건 (0) | 2023.01.12 |
23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납부기한 연장 세정지원 대상기업 확인하기 (0) | 2023.01.11 |
댓글